⟪이별의 능력⟫

2025.04.25.- 2025.05.11.
챔버 CHMBR

김기정, 김의선, 방예은

기획/글: 장유정
사진: 고정균
이별에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먼저 타자와 만나야 한다. 그리고 나의 시간과 타자의 시간이 다르게 흘러감을 깨달아야 한다. 이는 곧 타자의 시간이 이별의 토대를 만들고, 타자의 시간이 나의 다음 시간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레비나스는 『시간과 타자』에서 타자 가운데 가장 철저한 타자는 죽음이라고 밝힌다. 죽음은 우리가 예측할 수 없으며 동시에 내가 파악하거나 소유할 수 없는 끝없는 타자이기 때문이다. 이 막막한 타자 앞에서 나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근대적 시간을 갖지 못한 채 타자가 머무르는 시간 쪽으로 반쯤 열려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나의 미래는 곧 타자(죽음)와의 관계이다. 그렇기에 이별의 능력이란 타자의 시간을 받아들이는 것, 나의 시간이 타자의 시간으로 연결되는 그 어떤 시점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능력인 것이다. (전시 서문 중)




《우리는 섬처럼 떨어져 있을지라도》
We May Be Separated Like Islands, But

2024. 12. 10. (화) - 2025. 2. 16. (일)
대구예술발전소 1, 2 전시실 및 4층 테라스

오프닝 퍼포먼스: 2024. 12. 10. 15:00 변카카, <The Last Dance>, 16:00, 2 전시실

아티스트 Artists
고요손 Goyoson
김도경 Doy Kim
김선경 Iden Sungyoung Kim
김의선 Euysun Kim
림 속찬리나 Lim Sokchanlina
믹님 MIKNIM
변카카 Byunkaka
뷔-이 티 라우 Wie-yi T. Lawu
신유에 리우 Xinyue Liu
양하 Yang-Ha
유하나 Hana Yoo
이상희 Sanghee Lee
이소요 Soyo Lee
이호수 Hosu Lee
정아사란 Asaran Jeong
조리 콜렉티브 Chōri Collective
조해주 Haeju Jo
조희수 Heesoo Cho
줄라이 멕&세레이라트 멕 Choulay Mech&Sereyrath Mech
최유진 Yujin Choi

기획 Curators
마예니 Yeni Ma
김도경 Doy Kim
정화연 Yuni Hoayun Chung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마카다미아 오 Macadamia Oh

번역 Translation
전민지 Minji Chun
[English Version Below]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물은 다른 몸들의 일부이기도 하고 오래전 강과 호수였듯, 먼 훗날에는 바다와 연못을 이루고 있을지도 모른다. 물의 긴 시간 속에서 찰나에 불과한 이 몸은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 비가 되어 내리고 또 다른 존재들에게 스며들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물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것은 순환하고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오랜 시간 상상의 땅을 기반으로 사유해온 사람들은 선형적 시간과 역사, 임의적 경계와 국경 같은 개념을 구축해왔다. 그들이 서로 빼앗고 장벽을 세우는 동안 지도 위에는 무수히 많은 선들이 그려졌다. 전시 《우리는 섬처럼 떨어져 있을지라도》는 그려진 선들을 가로지르고, 서술된 역사를 넘어 깊고 알 수 없는 조상의 시간을 기억하며 현재, 그리고 미래와 연결시키기 위해 물과 함께 사유하기를 제안한다.

전시 제목인 “우리는 섬처럼 떨어져 있을지라도”는 극단 ‘코끼리들이 웃는다’의 공연 <물질>에 대한 작가 노트에서 발췌되었으며, 본래의 문장은 “같은 바다에 몸을 담그고 있다”로 끝난다. 우리가 물처럼 생각하고 존재한다면 모든 것은 고립된 개체가 아니라 끊임 없는 순환의 매개체이다.

The water that constitutes our bodies, just as it was once part of other bodies, rivers, and lakes long ago, may one day form seas and ponds in the distant future. In the vast timeline of water, this fleeting body will return there, falling as rain andseeping into other beings. Through the lens of water, everything circulates and interconnects. However, people who have over time based their thinking on imaginary lands have constructed concepts such as linear time, history, arbitrary boundaries, and national borders. While they took from each other and built barriers, countless lines were drawn acrossmaps. The exhibition We May Be Separated Like Islands, Butproposes thinking with water to cross these drawn lines, remember the deep and unknowable ancestral time beyond narrated history, and connect it to the present and future.

The exhibition title, We May Be Separated Like Islands, But, is excerpted from the artist’s note on the performance Muljil by the theatre company “Elephants Laugh,” with the original sentence ending “we are immersed in the same sea.” If we think and flow like water, everything is not an isolated entity but a medium of constant circulation.





Pier Paolo Pasolini

Pasolini Legge Pasolini, Poesia in forma di rosa
Label: RCA Italiana
Format: Vinyl, 7"
Country: Italy
Genre: Poetry
Year: 1962
Pier Paolo Pasolini was an Italian film director, poet, writer, and intellectual, who also distinguished himself as an actor, journalist, novelist, playwright, and political figure. He remains a controversial personality in Italy due to his blunt style and the focus of some of his works on taboo sexual matters. He was an established major figure in European literature and cinematic arts. His murder prompted an outcry in Italy and its circumstances continue to be a matter of heated debate.










「あいだのもの―Near, yet ―」

2024.4.3[水]_ 2024.4.7[日]

12:00‒21:00(月火定休、水木金は16:00〜18:00まで一時休憩)

入場料: 400円(セレクトティー付き)




 Euysun Kimは、韓国の仁川に生まれ、フランスのニースにある国立パリ・エコール・スペリエール・デザール・二ースと韓国のソウル大学にて美術教育を受けました。現在は、東京藝術大学の先端芸術表現科で交換留学生として在学しながらArt Center Ongoing のレジデンスプログラム Ongoing AIR に参加し、今回が日本で初の個展開催となります。

 フランスのニース、韓国の仁川という海が広がる地域で作品制作を行なってきた彼女は、異なる言語や文化を超え、誰もが介入できる空間や時間を生むことを試みてきました。作品制作においては常に何かを壊さず、あるがままの形を活かして新たな造形を生み出します。そこにはモノに対する思い入れや繊細さを重宝する優しさが感じられます。

 2020年に発表した作品〈Tangles〉では、誰もが見逃してしまいそうな道端に落ちている草木を切断せずに、あるがままの形を活かし、別の草木と組み合わせる事で作品にしました。触れたら壊れてしまいそうな儚さを内包している作品に、鑑賞者は少し距離をとりながら作品と向き合います。この絶妙な距離を保ちながら作品と対峙する瞬間は、人と良い関係を築く時の姿勢や、弱いものに手を差し伸べようとする時の感覚と通じる光景とも捉えられます。

 今回の展示「あいだのもの―Near, yet ―」では、これまで思考してきた「関係性」や「バランス」といった概念を自然の植物や、鋭いシャープな作品、写真やテキストなど多様なメディアを交えて表現します。

 日本にいる期間は、日本語で思うように会話ができないからこそ、自分が伝えたい事を相手にはっきりと伝えるオープンマインドな気持ちでいられたと言います。この気持ちの変化がきっかけとなり、これまで抱いていたマイノリティへの社会の向き合い方に対する苛立ちや疑問を今まで扱ってこなかった新たな形を扱い、表現する事を試みます。そして、多様な人々が共生するあり方を見つめ直し、互いの関係性やバランスを保つことは如何にして可能なのかを私たちに問いかけることでしょう。

 展覧会会期は5日間と短い期間ですが、日本という異国の土地に身を置き、細やかでありながら強さを感じる彼女の作品を見ていただきたいです。




【Euysun KIMのOngoing AIR 滞在報告会】

4月7日(日)19:00-

韓国から来たウィソンことEuysun KIMが見た東京、そしてオンゴーイングはどんなものだったのか。お別れパーティーをかねた報告会。当日は韓国料理をご用意。どなたさまもお気軽にご参加ください。

1,000円(軽食+1Drink+入場料)




Art Center Ongoing 清田菜央